운동하는 차팔이 와이프

운동, 자동차, 육아

  • 2025. 4. 4.

    by. darainmom 님의 블로그

    목차

       

      🏃‍♂️《2025 마라톤 준비 가이드》초보자도 3개월이면 완주 가능!

      ✅ 요약 (Intro)

      마라톤은 단순한 달리기가 아닙니다.
      꾸준한 준비와 전략이 필요한 '지구력 스포츠'죠.
      특히 2025년에 처음 마라톤에 도전하려는 분이라면, 지금부터 차근차근 준비하는 게 중요합니다.

      이 글에서는 초보자를 위한 3개월 완주 플랜, 훈련 루틴, 필수 준비물,
      그리고 가장 중요한 부상 방지 팁까지 전부 정리해드립니다.
      “마라톤 준비 어떻게 하지?” 고민된다면 지금 이 글부터 시작하세요!


      🗂 목차

      1. 마라톤 입문 전 체크리스트
      2. 3개월 완주 플랜 (주차별 훈련 루틴)
      3. 마라톤 준비물 리스트
      4. 부상 방지를 위한 주의사항
      5. 마무리 & 다음 시리즈 예고

      📌 1. 마라톤 입문 전 체크리스트

      목표 거리 정하기

      • 초보자: 5km, 10km
      • 도전형: 하프(21.1km)
      • 숙련자: 풀(42.195km)

      건강 체크

      • 병력이나 무릎 통증 이력 있다면 의사 상담 추천
      • 심박수 측정 앱 or 스마트워치 사용도 도움됨

      출전 대회 미리 정해두기

      • 마라톤365에서 '접수 중인 대회' 필터 활용
      • 목표가 있으면 훈련 집중도 상승!

      📅 2. 3개월 완주 플랜 (주차별 루틴)

      ✅ 개요

      • 대상: 마라톤 입문자 또는 하프마라톤 도전자
      • 목표: 10km 또는 하프 완주
      • 방식: 주 4~5회 훈련 + 2회 휴식 or 회복일
      • 강도: 가벼운 조깅 → 점진적 거리 증가 → 시뮬레이션

      ▶️ 1~4주차: 기본 체력 다지기 & 자세 교정

      목표: 심폐 지구력 향상, 러닝 자세 익히기

      요일훈련 내용
      휴식 or 요가, 가벼운 걷기 30분
      인터벌 조깅 3km (30초 걷기 + 1분 달리기 반복)
      상체 스트레칭 + 보강운동 (플랭크, 브릿지 등)
      지속 조깅 4~5km (페이스 유지)
      휴식 (가벼운 스트레칭 권장)
      LSD 훈련 5~6km (천천히 오래 달리기)
      걷기 1시간 or 자전거 30분

      💡 **LSD(Long Slow Distance)**란?
      말 그대로 천천히 오랫동안 달리는 훈련으로, 지구력과 페이스 감각을 기르는 데 효과적입니다.


      ▶️ 5~8주차: 거리 증가 & 러닝 리듬 만들기

      목표: 10km 달리기 적응 + 지구력 상승

      요일훈련 내용
      하체 스트레칭 & 가벼운 필라테스
      템포런 5km (중간 페이스 유지, 땀날 정도)
      인터벌 트레이닝 (400m × 4회, 회복 걷기 포함)
      지속 조깅 6~8km (음악 없이 페이스 유지 연습)
      휴식 or 요가
      LSD 8~12km (거리 늘리기, 속도 NO PRESSURE!)
      회복 산책 + 폼롤러 스트레칭 (30분 이상)

      보강 팁

      • 기록 앱(스트라바/나이키런클럽) 사용해 데이터 축적
      • 자신의 페이스 존 파악: 숨이 찰듯 말듯한 속도가 가장 효율적

      ▶️ 9~12주차: 실전 대비 & 시뮬레이션 훈련

      목표: 실제 대회처럼 훈련하고 완주 감각 익히기

      요일훈련 내용
      휴식 or 족욕, 폼롤링 등 회복 위주
      지속 조깅 8~10km (페이스 조절 능력 향상)
      인터벌 800m × 3~4회 (고강도 훈련)
      템포런 6~8km + 2km 쿨다운
      휴식 (가벼운 걷기만)
      시뮬레이션 런 14~18km (하프 목표자 기준)
      회복 스트레칭 + 영양식 섭취 + 수면 8시간 이상

      🚨 주의사항

      • 주 1회 이상 '러닝 없는 날' 반드시 포함
      • 피로감 누적 시 훈련 강도보다 회복을 우선시

      🧠 마인드셋 팁

      • 훈련 안 되는 날 = 자책 X → “나는 쉬는 것도 전략적으로 한다”
      • 3개월 전체 중 2~3회 정도 빠져도 문제 없음
      • 가장 중요한 건 꾸준함즐거움이에요!

      🎒 3. 마라톤 준비물 리스트

      기본 장비

      • 러닝화 (자신의 발형에 맞는 쿠션형 추천)
      • 러닝복 (흡습속건 기능)
      • 양말 (발목 보호용 or 마라톤 전용)
      • 보조배터리 or 스마트워치

      보급/영양

      • 물병 or 허리 수납형 물통
      • 에너지 젤, 바나나, 소금사탕 등
      • 경기 당일엔 절대 새로운 음식 NO!

      기념품 수납용

      • 신분증, 참가표, 물품보관 번호표
      • 방수 파우치 or 러닝 벨트 필수

      ⚠️ 4. 부상 방지를 위한 주의사항

      ❗ 과욕은 금물

      • ‘첫 마라톤 완주는 페이스 유지가 생명’
      • 초반에 무리하면 후반부가 고통

      ❗ 스트레칭 & 쿨다운 필수

      • 러닝 전: 동적 스트레칭
      • 러닝 후: 정적 스트레칭 + 폼롤러 마사지

      ❗ 신호가 오면 즉시 중지

      • 발목 통증, 무릎 뻐근함이 반복되면 병원 진료
      • 무리하면 3개월 훈련이 수포로 돌아갈 수 있어요

      🎉 5. 마무리 & 다음 편 예고

      마라톤은 누구나 시작할 수 있지만,
      준비를 제대로 하는 사람만이 진짜 ‘완주’의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.
      오늘부터 달려보세요. 걷기부터 시작해도 괜찮습니다.
      중요한 건 꾸준함!


      📌 [다음 편 예고]
      👉 《2025 마라톤 참가 신청 A to Z – 참가비, 기념품, 꿀팁 총정리》

      • 접수 일정 & 마감
      • 참가비 비교표
      • 혜택/환불/코스 정보 등까지